먼저 대비하는 2023 연말정산 절세전략과 예상세액 계산하기 1130일까지

먼저 대비하는 2023 연말정산 절세전략과 예상세액 계산하기 1130일까지

급여소득자라면 1년에 얼마의 소득액이 발생했는지, 그 소득에 따라 어느 정도 소득세를 내야 하는지 테이블에 따라 기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회사는 급여를 지급 시 어느 정도 미리 세금을 뗀 후 지급을 하는데, 이 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연말정산이란 내가 낸 세금 소득세와 지방소득세을 기준으로 환급을 받거나 혹은 덜 낸 세금을 추가 징수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연말정산을 하기 위해 이것저것 데이터를 잘 증빙하더라도, 내가 낸 기납부 세액인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초과해서 환급을 받을 수 없습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추가징수는 내가 낸 세금보다, 더 징수가 될 수 있답니다.


1단계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1단계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1단계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rarr2021년 지급명세서 불러오기rarr근무기간 및 총 급여액 수정rarr올해 부양가족 추가 아니면 삭제rarr신용카드 자료 불러오기rarr10월sim12월 신용카드 등 사용 예상금액 입력rarr계산하기rarr예상절감액 확인rarr저장 국세청이 미리 수집한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금액과 지난해 연말정산지급명세서 내용을 제공합니다. 근로자가 근무기간과 올해의 총 급여액 10월12월의 신용카드 예상 사용액을 입력수정하면 신용카드 공제액을 미리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사용금액은 근로자 본인뿐 아니라 부양가족으로 등록한 자의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자료도 조회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단계에서 신용카드 사용금액과 사용 예정금액에 많은데도 예상 절감 세액이 0원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Step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Step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Step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지난해 작성한 연말정산 자료에서 공제금액을 수정하고 올해 예상되는 총급여액과 기납부세액을 입력하면 예산환급세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인정공제, 보험료연금예금 등의 공제항목을 지출계획에 맞춰 수정하고 공제한도 초과와 미달액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절세 방안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올해 신설된 고향사랑기부금은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되며, 한도 확대된 연금통장 세액공제는 연 600만 원까지이며, 퇴직 연금을 포함한다면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됩니다.

기부, 저축계획이 있는 경우라면 위 항목들을 활용하면 되겠습니다.

2단계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1단계 저장 후rarr올해 예상되는 총급여액 및 기납부 소득세액먼저 낸 세금으로 수정rarr소득공제의 해당 항목 입력수정rarr세액감면공제의 해당 항목 입력수정rarr계산하기 선택rarr저장

앞서 신용카드 소득공제 계산된 자료와 함께 지난해 연말정산 내용을 기반한 각 항목별 공제금액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올해 예상액으로 수정하면 연말정산 예상세액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절세전략의 사례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 맞벌이 부부인 남편A와 아내B 그리고 대학에 다니는 자녀C가 있습니다. C의 신용카드 사용액 년 1,200만원을 누가 소득공제를 받는게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A남편의 경우 총 급여 8500만원, 신용카드 사용액 3000만원 신용카드 소득공제 131만원입니다. B아내의 경우 총 급여 5000만원, 신용카드 사용액 1500만원 신용카드 소득공제 38만원입니다. A의 경우로 C를 포함할 경우 소득공제액은 250만원으로 절세효과는 8만원이고B의 경우로 C를 포함할 경우 소득공제액은 218만원으로 절세효과는 13만원입니다.

1 팁 원천징수세액을 조정할 수 있다?

세금을 덜 내게 된 다면, 추가 징수를 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세금을 더 냈다면, 환급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죠. 이 에, 연말정산을 위해 공제신고서를 작성 시 자신이 공제신고서 작성 시 아래 예시 화면에서와 같이 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조정신청란에서 120, 100 아니면 80로 선택을 할 수 있답니다. 2022년도 연말정산을 위해 공제신고서를 작성하는데, 원천징수세액 조정신청을 선택해 놓으면, 2023년에 벌어드리는 소득에서 내가 선택한 조정만큼 세금을 매월 받는 급여에서 회사는 공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환급을 받던 추가징수를 해야 하던, 제 생각에는 100 선택 옵션이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직장인들의 연말정산 절세 방안을 세울 수 있는 절호의 기간입니다. 미리보기 이용하여 절세하시고 가계관리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작성자가 한가지 문제점을 제기하고 싶은점이 있습니다. 왜 신고방법에 따라 세금을 절약할 수 있을까요? 국민중심으로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더라면 이런불편은 없어지지 않을까요? 연마다 피같은 국민혈세가 낭비되고 있었는데 국민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세금이 쓰이길 소망해봅니다.

자주 묻는 질문

1단계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rarr2021년 지급명세서 불러오기rarr근무기간 및 총 급여액 수정rarr올해 부양가족 추가 아니면 삭제rarr신용카드 자료 불러오기rarr10월sim12월 신용카드 등 사용 예상금액 입력rarr계산하기rarr예상절감액 확인rarr저장 국세청이 미리 수집한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금액과 지난해 연말정산지급명세서 내용을 제공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tep 연말정산 예상세액

지난해 작성한 연말정산 자료에서 공제금액을 수정하고 올해 예상되는 총급여액과 기납부세액을 입력하면 예산환급세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단계 연말정산 예상세액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1단계 저장 후rarr올해 예상되는 총급여액 및 기납부 소득세액먼저 낸 세금으로 수정rarr소득공제의 해당 항목 입력수정rarr세액감면공제의 해당 항목 입력수정rarr계산하기 선택rarr저장앞서 신용카드 소득공제 계산된 자료와 함께 지난해 연말정산 내용을 기반한 각 항목별 공제금액을 보여줍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